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

[ Paper Review ] CLIP (Learning Transferable Visual Models From Natural Language Supervision, 2021) Learning Transferable Visual Models From Natural Language SupervisionState-of-the-art computer vision systems are trained to predict a fixed set of predetermined object categories. This restricted form of supervision limits their generality and usability since additional labeled data is needed to specify any other visual coarxiv.org 0. AbstractSOTA computer vision 시스템은 사전에 정의된 object category를 예.. 2024. 7. 15.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알고리즘 ] Chapter15. 파일 시스템 15-1. 파일과 디렉터리(1) 파일파일(file): 하드 디스크나 SSD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관련 정보의 집합파일 속성(메타데이터): 파일 형식, 위치, 크기 등 파일과 관련된 다양한 부가 정보 대표적인 속성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파일 유형을 알리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식은 파일 이름 뒤에 붙는 확장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파일을 다루는 모든 작업은 운영체제에 의해 이루어지며, 운영체제는 다음과 같은 파일 연산을 위한 시스템 호출을 제공한다.1. 파일 생성  2. 파일 삭제  3. 파일 열기  4. 파일 닫기  5. 파일 읽기  6. 파일 쓰기 (2) 디렉터리파일을 일목요연하게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directory)를 이용할 수 있고,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디렉터리를 폴더(folde.. 2024. 6. 27.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 Chapter14. 가상 메모리 14-1. 연속 메모리 할당연속 메모리 할당: 프로세스에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방식 (1) 스와핑스와핑(swapping): 메모리에서 사용되지 않는 일부 프로세스를 보조기억장치로 내보내고 실행할 프로세스를 메모리로 들여보내는 메모리 관리 기법스왑 영역(swap space): 프로세스들이 쫓겨나는 보조기억장치의 일부 영역스왑 아웃(swap-out): 현재 실행되지 않는 프로세스가 메모리에서 스왑 영역으로 옮겨지는 것스왑 인(swap-in): 스왑 영역에 있던 프로세스가 다시 메모리로 옮겨오는 것 스와핑을 이용하면 프로세스들이 요구하는 메모리 주소 공간의 크기가 실제 메모리 크기보다 큰 경우에도 프로세스들을 동시 실행할 수 있다. (2) 메모리 할당비어 있는 메모리 공간에 프로세스를 연속적으로 할.. 2024. 6. 26.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 Chapter13. 교착 상태 13-1. 교착 상태란(1)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식사하는 철학자 문제는 교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고전적이고 재미있는 문제 상황으로, 교착 상태가 어떤 상황에서 왜 발생하는지, 나아가 교착 상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엿볼 수 있는 가상의 문제 시나리오이다. 모든 철학자가 왼쪽 포크를 집어들면 모두가 오른쪽 포크를 집어들 수 없기 때문에, 어떤 철학자도 식사를 할 수 없고 영원히 생각만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교착 상태(deadlock): 일어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며 진행이 멈춰 버리는 현상철학자는 프로세스 혹은 스레드, 포크는 자원, 생각하는 행위는 자원을 기다리는 것에 빗대어 볼 수 있다. 교착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착 상태가 발생했을 때의 상황을 정확히 표현해 보고, 교착 상태가.. 2024. 6. 19.